S&P 500 (Standard and Poors 500)
산출 방식 : 비교시점의 전체 시가총액 (비교시점의 주가 * 상장주식수) / 기준시점 전체 시가총액 |
의미 :
NYSE와 NASDAQ에 상장된 주식 중 500개 대형기업의 주식을 포함한 지수. 500개 기업 중 대부분이 미국 기업이다. S&P 500은 지수 자체를 일컬을 뿐 아니라 지수에 포함된 해당 500개 기업 자체를 지칭하기도 한다.
의의 :
현재 실질적으로 미국을 대표하는 주가지수.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나스닥 지수와 더불어 미국의 3대 주가지수로 불린다.
소유 및 관리 :
국제 신용평가기관인 미국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tandard and Poors). S&P는 Moody's와 Fitch 등과 함께 세계 3대 신용평가 기관으로 불림.
정확히는 S&P Dow Jones Indices라는 회사에서 관리한다.
S&P Dow Jones Indices는 S&P와 Dow Jones & Company(현재는 News Corp의 자회사)의 Joint Venture로 설립된 회사이다.
News Corp의 자회사는 다우 존스, 뉴욕 포스트, 월스트리트 저널, 더 선, 더 타임스 등이 있다.
News Corp는 News Corporation(설립자 : 언론재벌 Rupert Murdoch)이라는 거대 미디어 그룹이 2013년 7월 1일 분할되면서 생긴 회사이다. (News Corporation -> News Corp 20%, 21st Century Fox 80%)
구성 :
공업주 400종목, 운수주 20종목, 공공주 40종목, 금융주 40종목으로 이루어짐. 또한 각 그룹에 해당하는 그룹별 지수가 개별적으로 존재한다.
산출 방식 :
비교시점의 전체 시가총액과 기준시점의 전체 시가총액을 비교한다.
1957년 3월 4일부터 발표되기 시작하여 기준지수 100으로 잡고 시작하였지만, 1982년 8월 12일부터 공식적으로 100으로 기준 지수를 잡고 재산출하여 이때부터의 지수를 S&P 500으로 본다.
처음에는 뉴욕증권거래소만 있었기 때문에 뉴욕증권거래소 종목 중에서 대형주를 추려냈으나 나스닥 출범 이후 마이크로소프트 등 나스닥 대형주도 포괄하기 시작하였다.
장점 :
블루칩인 30개 종목의 주식만을 대상으로 하는 Dow Jones Industrial Average(다우 지수)보다 더 많은 주식을 반영하고 있어 더 포괄적이다. 지수 산출 기준이 전 종목의 시가총액이기 때문에 시장 전체의 동향 파악이 다우식보다 용이하고 시장 구조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단점 :
대형주의 영향을 크게 받고 투자자가 느끼는 주가의 변동 추이와 지수의 움직임이 큰 차이를 보인다.
기타 :
S&P 500 관련 개별 선물과 옵션 상품이 있다.
S&P 500 Futures는 NASDAQ 100 Futures,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Futures보다 거래량이 훨씬 많다.
S&P 500지수 옵션의 향후 30일간 변동성을 반영하는 'VIX 지수'도 있다. 증시 지수와 반대로 움직여서 '공포 지수'라고도 불린다.
S&P 500 지수는 더 넓은 폭의 주식시장지수인 S&P 1500과 S&P GLOBAL 1200의 한 부분이다.
'지식들 > 조각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가지수]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0) | 2021.01.02 |
---|---|
[주가지수] NASDAQ 종합주가지수 (0) | 2021.01.01 |
[회계] 감사 의견(Auditor's Opinion) (0) | 2021.01.01 |
[기술적 분석] 이격도(Disparity) (0) | 2020.12.29 |
[금융] 주택담보대출비율(LTV) (0) | 2020.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