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들/조각지식

[금융] 총부채상환비율(DTI)

총부채상환비율 

DTI, Debt To Income Ratio

 

의미 : 차주의 금융부채 원리금 상환액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

의의 : 금융기관이 주택담보대출 취급 시 차주의 소득에 근거한 채무상환능력을 반영하기 위해 DTI를 고려한다.

 

DTI = (해당 주택담보대출 연간 원리금 상환액 + 기타부채의 연간 이자 상환액) / 연소득 * 100

 

원금일시상환방식 대출 또는 원금일부분분할상환방식 대출의 경우 만기 상환액을 대출기간으로 나누어 연간 원리금 상환액을 계산한다. 차주 본인을 기준으로 산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차주의 배우자가 주택담보대출이 없는 경우에는 부부 합산 기준으로 산정할 수 있다.

 

<예 - 은행권 가중평균금리 4%라 가정했을 때>

연소득 3,600만원 / 대출하려는 금액 1억원 / 기타부채금액 2천만원 / 대출기간 12개월 / 만기상환인 조건일 때 DTI는?

연간원리금상환액 : 

100,000,000 * 1.04 = 104,000,000

기타부채이자상환액 : 

20,000,000 * 0.04 = 800,000

DTI :

(104,000,000 + 800,000) / 36,000,000 * 100 = 291.11%

 

<DTI를 적용했을 때의 장단점>

- 장점  

ⓐ대출 총액을 제한하기 때문에 신용이 신용을 낳아 생기는 유동성 문제를 해결하여 자산(부동산)의 거품을 진정시킬 수 있다.

ⓑ소득에 따라 대출의 총액을 규제함에 따라 부실대출 리스크가 감소한다.

ⓒ부실대출 비율이 감소함에 따라 금융기관은 위험부담금(충당금)을 적게 쌓아도 된다.

- 단점

ⓐ금융기관 대출은 각 기관 고유의 업무 영역이라 이에 대해 과도한 시장 규제가 될 가능성이 있음. 

ⓑ금융기관의 자율성을 침해하는 것일 수도 있고, 신규 대출에 대한 기관의 검증 책임 면제하는 꼴이 될 수도 있음. 

ⓒ대출자의 신규 투자에 대한 기회가 줄고 금융기관의 이자수익이 줄면서 경기에 악영향 가능성. 

ⓓDTI 한도 제약으로 제1금융권에서 추가 대부가 불가할 경우 고리의 제2, 3금융권 대부를 이용하여 신용도가 하락, 이자부담이 늘어날 수 있음. (제2, 3금융권 대출을 부추기는 셈)

 

<참고>

총부채상환비율(DTI) 계산::부동산계산기.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