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들/조각지식

[금융] 선물(Futures)의 심화

1. 선물이론가격(Theoretical value of Futures)

 정의 : 최종결제일의 선물가격을 사전에 미리 계산한 값.

 산출 : 현물을 선물의 최종결제일까지 보유한다는 전제 하에 추가되는 비용과 이익을 상계해 계산한다.

 선물 이론가격 = (현물매수가격) + (현물가격 * 차입금리) - (현물의 배당수입)
 or 선물 이론 가격 = 현물가격(S) + 순보유비용(C)

 ※ 순보유비용(C) = 이자비용(r) + 보관비용(c) - 현금수입(d) - 편의수익(y)

 혹은 보유비용모형에 의하여,

 (선물의 이론가격) = (현물 가격) + [(현물 가격) * (이자율 - 배당률)] * 잔존일수/365

 예를 들어 코스피 200 지수가 429.77p이고 이자율이 4.5%, 배당수익률이 3%, 잔존일수 55일이라고 가정하면,

 코스피200 3월물의 이론가격 = 429.77+[429.77 * (0.045 - 0.03)]*55/365 = 429.77+6.45*0.15 = 436.37

 

2. 이론 베이시스

 정의 : 선물 이론가격과 현물 가격의 차이. 선물 이론가격이 436.37이고 현물이 429.77이면 이론 베이시스는 6.6이다.

 이론 베이시스(B) = 선물 이론가격-현물가격 = 보유비용 = 현물가격(S)*[이자율(r) - 배당률(d)]*t(잔존일수)/365

 

3. 시장 베이시스

 정의 : 선물 가격과 현물 가격의 차이. 선물 가격이 429.75이고 현물 가격이 430.00이면 시장 베이시스는 -0.25이다.

 시장 베이시스(B) = 선물 가격 - 현물 가격

 

4. 보유비용에 따른 콘탱고 / 백워데이션

 이론 베이시스 = 시장 베이시스 상태가 되면 이론적 보유비용이 선물의 시장가에 제대로 반영되어있다는 의미이며, 이 때 선물 가격과 현물 가격 간 균형을 이룬다고 말한다.

 보유비용모형에 따르면 보유비용은 ' (이자율 - 배당률) * 잔존일수 / 365 '인데, 이 때 이자율이 배당률보다 크면 보유비용 양수, 이자율이 배당률보다 작으면 보유비용이 음수가 된다. 

 즉, '이자율 > 배당수익률 → 선물가격 > 현물가격. 이자율 < 배당수익률 → 선물가격 < 현물가격'이 성립하는 것이다.

선물가격이 현물가격보다 비쌀 때는 (베이시스가 양의 값일 때는) 콘탱고(Contango, 정상 시장)라고 하며, 선물가격이 현물가격보다 쌀 때는 (베이시스가 음의 값일 때는) 백워데이션(Backwardation, 비정상 시장)이라고 하며, 이 상태를 디스카운트 상태라고 한다.

 이러한 베이시스를 이용해 현물과 선물 간 헤지거래 및 차익거래(프로그램매매)가 발생하여 균형가격(베이시스=0)에 도달하게 된다.

 ※ 베이시스 위험(Basis risk) : 선물과 현물 간 가격변동폭이 달라질 위험. 이로 인해 완전헤지를 불가능하다.

 

 

5. 괴리도와 괴리율

 ① 괴리도 : 선물시장가격과 선물이론가격의 차이를 말한다.

 괴리도의 산출 : 선물시장가격 - 선물이론가격

 괴리도가 양수라는 것은 즉 보유비용이 고평가되어있다는 것이며, 음수라는 것은 보유비용이 저평가되어있는 것이다.

 

 ② 괴리율 : 선물시장가격과 선물이론가격의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괴리율의 산출 : (선물시장가격 - 선물이론가격) / 선물이론가격 * 100

 만약 KOSPI 200 3월물 시장가격이 429.90, 이론가격이 430.70이라면, 

 괴리율 = (429.90 - 430.70) / 430.70 * 100 = -0.1857··· = 0.19

 괴리도와 마찬가지로 괴리율이 양수라는 것은 보유비용 고평가, 음수라는 것은 보유비용 저평가를 말한다.

 

 

6. 베이시스를 이용한 헤지거래

*베이시스 확대 예상 시 : 선물가격이 상승하므로 매입헤지(선물매입 + 현물매도)가 유리.

*베이시스 축소 예상 시 : 선물가격이 하락하므로 매도헤지(선물매도 + 현물매입)이 유리.

 

 

7. 베이시스를 이용한 차익거래(프로그램매매)

*베이시스 확대 예상 시 : 매도차익거래(선물매입 + 현물매도)

*베이시스 축소 예상 시 : 매수차익거래(선물매도 + 현물매입)

 

 ※ 래깅(Lagging) 차익거래

*베이시스 확대 예상 시 : 래깅 매도차익거래(선물 후매입, 현물 선매도)

*베이시스 축소 예상 시 : 래깅 매수차익거래(선물 후매도, 현물 선매입)

 

 

8. CB상한가, CB하한가?

 뜻 : 서킷브레이커(Circuit Breakers)가 걸리는 상/하한가라는 뜻이다. 

 ※ 서킷브레이커 : 증시에서의 서킷브레이커는 외부 충격으로 투자 심리에 과도한 변화가 생겼을 때 일시적으로 거래를 중단해 비이성적 흐름을 차단하는 장치를 말한다.

 

 

9. 매수차익거래

 정의 : 선물을 팔고 동시에 현물(예로 KOSPI200에 속한 종목들)을 사서 무위험 차익을 보는 매매기법.

 목적 : 선물가격이 높고 현물이 낮은 상황에서 '선물매도 + 현물매수'의 매매를 하는 것이다. 선물만기일에 선물과 현물 가격이 같아지는 현상을 이용해 반대로 매매함으로써 이익을 취하는 것이다. 

 의미 : 코스피200 현물지수가 430이고 선물지수가 445라면 현물지수가 선물지수보다 저평가 상태다. 이 때 투자자는 저평가된 현물지수를 사고 고평가된 선물지수를 매도하는 매매를 하여 현물지수와 선물지수 간 차이를 이익으로 취하는 전략을 구사한다. 하지만 현물지수는 거래할 수 없으니 현물지수에 상응하도록 코스피200에 속하는 종목들을 비중대로 사들이는 '바스켓 매수'를 하게 된다. 즉 현물을 매입하고 지수선물을 매도하는 것이다.

 

 만약 선물지수 430, 현물지수가 445라면 선물지수가 저평가, 현물지수가 고평가된 상태이다. 그래서 외인들이 선물을 대량 매수하고, 현물을 대량 매도하였다. 이 때, 외인들이 선물을 사들일 때 반대쪽에서 선물을 팔아주는 쪽이 있는데, 이들이 증권사이다. 그리고 선물을 매도한 증권사는 리스크 관리를 하기 위해 현물 주식을 사들이는 식으로 헤징한다. 

 선물만기일 때 외국인이 지수선물을 대량으로 매수하여 가지고 있다면, 지수선물을 전매도하고 현물을 매수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월물은 현물 가격과 비교하여 콘탱고로 시작하니까.) 이와 반대편에서 거래했던 증권사는 선물을 매수하고 현물을 매도하게 된다. 무위험차익거래는 이처럼 외인과 증권사 간의 제로섬 게임과 같아서 개인투자자 입장에서 크게 우려할 필요가 없다. 개인투자자 입장에서 우려해야 할 것은 이러한 무위험 차익거래가 아닌, 선물과 연계를 하지 않는 비차익거래이고, 이것이 진짜 외국인 순매수/순매도이다. 

 

 

10. 롤오버(Roll-Over)

 정의 : 선물만기일이 되면 매수·매도포지션이 자동으로 청산·소멸되는데, 선물시장에서의 롤오버란 매수차익거래잔고를 청산하지 않고 차근월물로 자동이전(이월)하는 것을 의미한다. 차익거래가 아니라 선물 장기 포지션을 잡을 때 행하는 단순 이월도 롤오버라고 한다.

 과정 : 현물을 매수하고 선물 12월물을 매도한 투자자가 매수차익거래의 롤오버를 원하면 선물 12월물의 청산 시점에 선물 3월물을 신규매도하거나 혹은 선물 12월물 만기 이전에 현물은 그냥 두고 선물 12월물을 환매수한 후 선물 3월물을 신규매도하면 된다.

 의미 : 매수차익거래를 실시한 기관투자가가 주식을 팔지 않고 그대로 보유하는 것이다. 12월물 만기일에 3월물로 이전된 롤오버 물량이 많다는 것은 투자자가 증시를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 경우 주식시장에 대한 충격은 줄어든다. 

 비용 : 1월물의 가격이 20달러, 2월물의 가격이 22달러라고 가정하면 2달러만큼의 갭이 발생하는데, 이 2달러를 롤오버 비용이라고 한다.

 

 

11. 프로그램매매(Program Trading)

 정의 : 주식을 대량으로 거래하는 기관투자자들이 일정한 전산 프로그램에 따라 수십 종목씩 주식을 묶어서(바스켓) 거래하는 것.

 과정 : 매도나 매수에 대한 의사결정은 매매자가 하지만 나머지 모든 과정은 시스템이 알아서 하는 식이다. 

 구분 : ①차익거래 : 현물과 선물을 다른 방향으로 동시 매매하여 현물과 선물 간 일시적 가격 차이에서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거래.

 ②비차익거래 : 선물과 연계하지 않고 현물 바스켓을 매매하는 거래. 

 의미 : 기관투자가들은 일반적으로 지수 영향력이 큰 20~30개의 주식집단을 대량으로 매매하므로 프로그램 매매는 종합주가지수에 큰 영향을 끼친다. 특히 지수차익거래에 있어서 선물을 매도하고 현물을 매수해놓은 상황에서 일정 시점 이후 이익 실현을 위해 선물을 매수하고 현물을 매도할 경우, 집중적인 현물 매도에 의해 종합주가지수가 급락(반대 경우는 급등)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하지만 이는 선물거래의 만기 도래로 인해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일 수도 있다. 비차익 거래의 경우에도 종전에 매수(매도)해두었던 프로그램 매수(매도) 물량이 일시에 증권시장으로 쏟아질 때 주가지수 하락(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

 

 

12. 비차익거래

 정의 : 선물과 연계하지 않고 현물시장에서 코스피 종목 가운데 15개 이상 종목을 묶어서 동시에 매매하는 '바스켓' 거래를 말한다. 비차익거래는 선물, 옵션과 연계한 베이시스의 움직임에 따라 매매가 이뤄지는 차익거래와 달리 시장전망에 의거해 주식을 사고 파는 것이다.

 

 

 

 

 

728x90